본문 바로가기
불교입문/불교상식

108배

by 템플스토리 2023. 5. 4.

108배
<출처 : 공공누리 포털>

불교에서는 인간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108가지 괴로움이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다시말해 108이라는 숫자는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우리를 괴롭히는 108가지 괴로움을 뜻하는 숫자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백팔번뇌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108배는 이와같은 108가지의 괴로움을 없애고 마음을 청정하게 비우기 위해 108번 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절은 고대 인도에서 비롯된 문화로 상대방을 극 존대하는 행동양식으로 상대의 발조차도 받들어 존중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티벳에서도 이와 비슷한 오체투지가 있지만 100회까지만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래 들어서는 불교 수행의 하나인 이 108배를 기도 목적이 아닌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해 일반인들도 많이 하고 있다고 합니다. 방송에서도 이미 많이 나왔듯이 배우 고소영씨와 문소리씨가 평소 108를 운동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있기도 합니다. 108배의 동작은 "합장-무릎꿇기-엎드리기-상체들기-일어서기"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108배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에 기름을 부은것이 SBS 스페셜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에서 과학적 실험을 통해 절을 통한 유익한 생체 변화 등을 직접 입증한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0.2평의 기적, 절하는 사람들』이란 내용으로 TV에서 방영하면서 108배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은 급상승 하였습니다.

 

불교에서는 108배가 이와같은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건강에도 커다란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명상을 할때처럼 집중력도 향상이 되고, 절을 함으로 하심(下心)을 기를 수 있어 아상(我相)이 무너져 인간관계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또한 각종 스트레스의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아상이란 자기를 자랑하며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을 일컽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불교신자들은 백팔대참회문 기도와 함께 108배를 수행하지만 일반인들은 자신을 괴롭히는 번뇌와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기도문이나 간절히 바라고 이루고자 하는 것에 대한 기도문 등으로 수행하면 됩니다. 아래는 BTN 불교방송의 나를 꺠우는 108배 참고영상입니다.

 

<출처 : 유튜브>

'불교입문 > 불교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분향례(五分香禮)  (0) 2023.05.18
탐(貪)·진(嗔)·치(痴)란?  (0) 2023.05.18
법당 이름과 부처님  (0) 2023.05.04
대웅전(大雄殿)  (0) 2023.05.03
불이문(不二門)  (0) 2023.05.03

댓글